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통해 만기 시 상당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금융 상품입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청년일수록 더 많은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어,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여 미래를 준비해보세요.
✅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11개 취급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자는 은행 앱에서 본인의 자격 요건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여 신청 절차를 진행합니다. 신청 기간은 매월 지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 후, 가구원의 소득 조회 동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신청자의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된 가구원(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 등)은 소득 조회에 동의해야 하며, 모든 가구원의 동의가 완료되어야 심사가 진행됩니다. 이 과정은 비대면으로 이루어집니다.
심사 완료 후, 신청자는 계좌 개설 기간 내에 선택한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계좌 개설 기간은 신청자 유형(1인 가구 또는 2인 이상 가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안내된 일정을 확인하여 기한 내에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 대상 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으로,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제외됩니다. 개인 소득은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또한, 가구 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이어야 합니다. 가구원은 신청자의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된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아래 표는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를 나타냅니다.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250%(연) |
---|---|
1인 가구 | 62,336,760원 |
2인 가구 | 103,684,650원 |
3인 가구 | 133,044,480원 |
4인 가구 | 162,028,920원 |
5인 가구 | 189,920,640원 |
✅ 지급 금액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차등 지급됩니다. 월 최대 납입한도는 70만 원이며,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의 청년이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기여금으로 월 3만 3,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보다 9,000원이 증가한 금액으로, 연간 최대 39만 6,000원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개인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 지급 기준을 나타냅니다.
개인소득 구간 | 월 납입한도 | 정부기여금 지급비율 | 월 최대 정부기여금 |
---|---|---|---|
2,400만 원 이하 | 70만 원 | 6.0% | 33,000원 |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 70만 원 | 4.6% | 27,600원 |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 70만 원 | 3.7% | 25,900원 |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 70만 원 | 3.0% | 21,000원 |
6,000만 원 초과 | 70만 원 | 0% | 0원 |
✅ 유효기간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기간은 총 5년(60개월)입니다. 가입자는 이 기간 동안 매월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지급됩니다. 가입 후 1년이 경과하면 매년 개인소득에 대한 유지심사가 진행되어, 소득 변동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만기 전에 중도해지를 하는 경우,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에는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 구입, 혼인, 출산 등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인 중도해지의 경우, 본인이 납입한 금액만 반환되며,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확인 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결과는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전용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자는 본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휴대폰 인증을 통해 본인 확인을 진행한 후, 가입 요건 확인 진행 경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 요건 확인은 개인 요건(나이, 개인소득)과 가구 요건(가구원, 가구소득)으로 나뉘며, 각 단계별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요건이 충족되면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는 안내를 받게 됩니다.
또한, 가입 후 매년 진행되는 유지심사 결과도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소득 변동에 따른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 조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Q&A
Q1. 청년도약계좌는 중도에 납입을 하지 않아도 유지되나요?
A1. 네, 청년도약계좌는 자유적립식 상품으로, 매월 납입하지 않더라도 계좌는 유지됩니다. 다만, 납입을 하지 않는 기간에는 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Q2. 가입 후 소득이 증가하면 정부기여금 지급에 영향이 있나요?
A2. 가입 후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계좌는 유지되며, 정부기여금 지급 여부는 매년 진행되는 유지심사를 통해 결정됩니다. 소득이 증가하여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기간 동안은 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3. 청년도약계좌는 다른 청년 지원 상품과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
A3. 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등 다른 청년 지원 상품과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각 상품의 가입 요건과 혜택을 확인하여 중복 가입 시 유의사항을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